Posts

실컷 먹으면서 다이어트 한다…기초연, 지방 대사 조절 기전 규명

Image
  뇌 속 별세포의 지방 대사 조절 모식도.( IBS  제공)/뉴스1 (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음식을 많이 먹고도 지방만 쏙 빼 다이어트 할 수 있는 '지방 대사 조절 기전'을 규명했다. 비만 환자는 물론 전 세계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기초과학연구원( IBS )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이 뇌 속 별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에서 지방 대사 조절 원리를 찾았다고 1일 밝혔다. 또 직접 개발한 신약 ‘ KDS2010’ 을 투여한 동물 실험에서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 감량도 성공했다. 공복감과 체내 에너지 균형은 뇌의 측시상하부가 관장한다. 측시상하부 신경세포들이 지방 조직으로 연결돼 지방 대사에 관여한다고 알려졌으나 정확한 지방 대사 조절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진은 측시상하부에서 억제성 신경물질인 ‘가바( GABA )’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신경세포 군집  GABRA5 를 발견했다. 이어 비만 쥐 모델에서  GABRA5  신경세포의 주기적 발화가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했다. 화학유전학적 방법으로  GABRA5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니 지방 조직의 열 발생(에너지 소진)이 감소해 지방이 축적돼 체중이 증가했다. 반면 측시상하부의  GABRA5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체중이 감소했다.  GABRA5  신경세포가 체중 조절 스위치인 셈이다. 고지방 식이 섭취 시  GABRA5  신경세포의 활성 감소.( IBS  제공)/뉴스1 연구진은 측시상하부의 별세포가  GABRA5  신경세포의 활성을 조절함을 발견했다. 별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한 반응성 별세포는 마오비( MAO-B ) 효소를 발현해 지속성 가바를 다량 생성함으로써 주변의  GABRA5  신경세포를 억제했다. 또 반응성 별세포의 마오비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면 가바 분비가 줄어  GABRA5  신경세포가 활성화되고, 지방 조직의 열 발생을 촉진함으로써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이 감소했다. 이는 반응성 별세포의 마오비 효소가 비만